외부에서 본인이 만든 서비스에 접근하려면 24시간 동안 작동하는 서버가 필수입니다.
만약 특정 시간에만 트래픽이 몰린다면 유동적으로 사양을 늘릴 수 있는 클라우드가 유리합니다.
클라우드 서비스(AWS, AZURE, GCP 등)는 쉽게 말하면 인터넷(클라우드)을 통해 서버, 스토리지(파일 저장소), 데이터베이스, 네트워크, 소프트웨어, 모니터링 등의 컴퓨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입니다.
단순히 물리 장비를 대여하는 것만이 아닙니다.
예를 들어 AWS의 EC2는 서버 장비를 대여하는 것이지만, 실제로는 그 안의 로그 관리, 모니터링, 하드웨어 교체, 네트워크 관리 등을 기본적으로 지원하고 있습니다.
개발자가 직접 해야 할 일을 AWS가 전부 지원을 하는 것입니다.
클라우드 형태
- Infrastructure as a Service(IaaS, 아이아스, 이에스)
- 기존 물리 장비를 미들웨어와 함께 묶어둔 추상화 서비스입니다.
- 가상머신, 스토리지, 네트워크, 운영체제 등의 IT 인프라를 대여해 주는 서비스라고 보면 됩니다.
- AWS의 EC2, S3 등
- Platform as a Service(Paas, 파스)
- 앞에서 언급한 IaaS에서 한 번 더 추상화한 서비스입니다.
- 한 번 더 추상화했기 때문에 많은 기능이 자동화되어 있습니다.
- AWS의 Beanstalk(빈스톡), Heroku(헤로쿠) 등
- Software as a Service(SaaS, 사스)
- 소프트웨어 서비스를 이야기합니다.
- 구글 드라이브, 드랍박스, 와탭 등
AWS의 특징
- 첫 가입 시 1년간 대부분 서비스가 무료입니다.
- 단, 서비스마다 제한이 있습니다.
- 클라우드에서는 기본적으로 지원하는 기능(모니터링, 로그관리, 백업, 복구, 클러스터링 등등)이 많아 개인이나 소규모일 때 개발에 좀 더 집중할 수 있습니다.
- 많은 기업이 AWS로 이전 중이며, 국내에서는 AWS 점유율이 압도적입니다.
- 사용자가 많아 국내 자료와 커뮤니티가 활성화되어 있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