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 개의 데이터 센터를 이용하는 사례
- 장애가 없는 상황에서 사용자는 가장 가까운 데이터 센터로 안내되는데, 통상 이 절차를 지리적 라우팅(geoDNS-routing 또는 geo-routing)이라고 부릅니다.
- 지리적 라우팅에서의 geoDNS는 사용자의 위치에 따라 도메인 이름을 어떤 IP 주소로 변환할지 결정할 수 있도록 해 주는 DNS 서비스입니다.
데이터 센터 중 하나에 심각한 장애가 발생했을 경우
모든 트래픽은 장애가 없는 데이터 센터로 전송됩니다.
다중 데이터센터 아키텍처를 만들기 위한 기술적 난제
- 트래픽 우회: 올바른 데이터 센터로 트래픽을 보내는 효과적인 방법을 찾아야 합니다. GeoDNS는 사용자에게서 가장 가까운 데이터센터로 트래픽을 보낼 수 있도록 해 줍니다.
- 데이터 동기화(synchronization): 데이터 센터마다 별도의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고 있는 상황이라면, 장애가 자동으로 복구되어(failover) 트래픽이 다른 데이터베이스로 우회된다 해도, 해당 데이터센터에는 찾는 데이터가 없을 수 있습니다. 이런 상황을 막는 보편적 전략은 데이터를 여러 데이터센터에 걸쳐 다중화하는 것입니다.
- 테스트와 배포(deployment): 여러 데이터 센터를 사용하도록 시스템이 구성된 상황이라면 웹 사이트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여러 위치에서 테스트해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한편, 자동화된 배포 도구는 모든 데이터 센터에 동일한 서비스가 설치되도록 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참조
'System Design'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용자 수에 따른 규모 확장성] 로그, 메트릭 그리고 자동화 (0) | 2021.09.09 |
---|---|
[사용자 수에 따른 규모 확장성] 메시지 큐 (0) | 2021.09.08 |
[사용자 수에 따른 규모 확장성] 무상태(stateless) 웹 계층 (0) | 2021.09.07 |
[사용자 수에 따른 규모 확장성] 콘텐츠 전송 네트워크(CDN) (0) | 2021.09.02 |
[사용자 수에 따른 규모 확장성] 캐시 (0) | 2021.09.0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