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구사항을 보면 당장 결정하기 어려운 부분이 있을 수 있습니다. 그렇다고 이런 정책이 결정될 때 까지 개발을 무기한 기다릴 수도 없습니다. 이럴 경우 객체 지향 설계 방법을 사용합니다. 인터페이스를 만들고 구현체를 언제든지 갈아끼울 수 있도록 설계하면 됩니다.
참조
'Spr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프링 핵심 원리 - 기본편] 회원 도메인 실행과 테스트 (0) | 2021.09.08 |
---|---|
[스프링 핵심 원리 - 기본편] 회원 도메인 개발 (0) | 2021.09.08 |
[스프링 핵심 원리 - 기본편] 객체 지향 설계와 스프링 (0) | 2021.09.05 |
[스프링 핵심 원리 - 기본편] 좋은 객체 지향 설계의 5가지 원칙(SOLID) (0) | 2021.09.05 |
[스프링 핵심 원리 - 기본편] 좋은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이란 (0) | 2021.09.05 |
댓글